길을 나타내는 접미어 로(路) 가(街) 도(道) 선(線)
한국어 ’길‘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이것은 한국어뿐 아니라, 한자어나 영어를 포함한 대부분 언어에서 마찬가지다.
길은 기본적으로 사람이나 차마(車馬=탈것과 동물을 동시에 이르는 말)가 이동할 수 있는 땅 위의 공간(=道路, road, street, way)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생각이나 방법들을 전개하는 경로(=方道, way, path, means), 또는 그 기준과 척도(=道里, 원칙, criteria, moral, principles, duty)까지를 의미하고 있다.
한국어에서 길을 나타내는 한자어는 경우에 따라 –도(道) -로(路) -가(街) -선(線) 등의 접미어 형태로 활용된다. 이 가운데, –선(線)은 ’노선(路線)‘과 같이 큰 범위의 길과 방향을 가리키는 말이고, -도(道)는 좀 더 물리적으로 구체화된 길을 뜻하며, -로(路)는 가리키는 범위가 보다 구체적이며 한정적이다. -가(街)는 한정적인 특정 공간을 지칭할 때가 많다.
이를 도식화하면, 대개
선(線)> 도(道)> 로(路)> 가(街)의 순서로 나타낼 수 있다.
○ 줄 선(線) 줄, 노선, 실
- (線, 길, 방향) 상행선, 하행선, 노선, 차선, 지선, 간선, 곡선, 폐선(廢船), 선로(線路),
- (線, 확장) 광선(光線=빛의 길), 시선(視線,눈길), 방사선, 적외선, 탈선(脫線), 혼선(混線), 복선(伏線), 평행선(平行線), 쌍곡선(雙曲線) 연장선(延長線)
- (線, 고유명사) 경인선, 경부선, 호남선, 동해남부선, 경춘선 등. (고속도로, 항로, 철로 등의 노선 명칭에 두루 사용)
○ 길 도(道) = 도리, 길, 이치, 연유
- (道, 통로) 도로(道路), 국도(國道), 지방도(地方道), 차도(車道), 인도(人道), 철도(鐵道=鐵路) 궤도(軌道), 갱도(坑道), 지하도(地下道), 복도(複道), 어도(御道), 어도(魚道), 보도(步道)
* 수도(水道=水路, 일반적으로 개방/노출된 물길은 수로라 하고, 파이프와 같이 밀폐된 통로를 통해 물이 흐르는 경우를 수도라 한다),
- (道, 경로, 수단) 왕도(王道), 세도(勢道), 사도(邪道), 도정(道程)
- (道, 도리/ 원칙) 인도(人道), 정도(正道), 중도(中道), 도덕(道德), 법도(法道), 무도(武道), 무도(無道), 수도(修道)자,
도인(道人), 도량(道場), 도법(道法), 사도(師道), 효도(孝道)
- (道, 방법, 기준) 다도(茶道), 검도(劍道), 궁도(弓道), 태권도(跆拳道), 역도(力道)
- (道, 확장) 외도(外道), 황도(黃道), 적도(赤道), 편도(片道)
○ 로(路)와 가(街)
- (路, 길): 도로(道路) 행로(行路) 경로(經路) 미로(迷路) 선로(線路), 항로(航路), 차로(車路=찻길) 수로(水路=물길) 언로(言路=말길) 회로(回路) 요로(尿路), 육로(陸路) 해로(海路) 공로(空路) 험로(險路)
- (路, 길 자체): 노면(路面) 노상(路上) 노변(路邊) 노반(路盤←地盤)
- (路, 확장): 말로(末路) 애로(隘路) 기로(岐路) 요로(要路=중요한 길목) 활로(活路), 퇴로(退路) 진로(進路) 노제(路祭)
- (街, 길) 가로(街路, ~樹/~燈), 가도(街道), 가두(街頭)
- (街, 거리) 상가(商街=商店街), 유흥가(遊興街), 번화가(繁華街), 학원가(學園街/學院街), 식당가(食堂街),
- (街, 비유: 界의 뜻으로) 학원가, 대학가(大學街), 방송가(放送街), 극장(劇場街), 패션가, 정가(政街)
'제도에 관한 접미어 > 소통에 관한 명칭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교통: 시설에 관한 접미어, 역(驛) 교(橋) 항(港) 항(航) (0) | 2025.02.07 |
---|---|
10 교통수단에 관한 접미어 차(車) 선(船) 기(機) (0) | 2025.02.04 |
10 교통: 이동에 관한 접미어 발(發) 착(着) 행(行) (0) | 2025.0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