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도에 관한 접미어/소통에 관한 명칭들

10 교통: 시설에 관한 접미어, 역(驛) 교(橋) 항(港) 항(航)

by Chiron 21 2025. 2. 7.

○교통 시설에 관한 접미어 역(驛) 교(橋) 도(道) 로(路)

사람과 사물을 이동시키는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시설과 장치들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시설은 길(도道 로路)과 정차시설(Platform)이다. 플랫폼은 사람이 내리고 타는 시설, 도로는 이동을 위한 시설이다.

길은 여러 종류의 도로 외에도 터널과 교량(-橋)을 포함한다. 지금은 한자어를 쓰지 않고도 ‘-길’을 접미어로 한 명칭이 많이 쓰이고 있으나, - 역(驛) - 교(橋) - 도(道) -로(路)와 같은 접미어가 붙어 있으면, 길과 기차역과 다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터널의 이름은 한자어나 한글로 바꾸지 않고 영어명칭 ‘-터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터널의 한국어는 굳이 바꾸자면 굴(窟)이지만, 출구와 입구를 따로 갖춰 관통해 지나갈 수 있는 교통시설로서의 터널과는 의미가 다르다.

 

- 역(驛) 한자어에 말 마(馬)가 포함된 것은 역(驛)이란 말이 말과 수레를 멈추는 역참을 의미하는 데서 생겨났기 때문이다. 관행상, 자동차가 멈추는 정류장, 정류소, 터미널 등에는 이 글자를 쓰지 않고 기차(전철, 지하철 포함)가 서는 정거장에만 ‘–역’을 붙여 쓰고 있다. (정류장/정거장: 한국어에서는 자동차가 멈추는 곳은 ‘정류장’, 기차가 멈추는 곳은 ‘정거장’이라 한다. 혼동하지 않도록 새겨두자.)

- (驛: 기차 정거장) 간이역(簡易驛), 환승역(換乘驛), 종착역(終着驛), 역사(驛舍), 역장(驛長), 역참(옛, 驛站), 역마(옛, 驛馬), 전철역, 기지(基地驛)역,

- (驛: 고유명사) 서울역 마산역 천안역 목포역 종각역 시청역 등등.

 

- (橋: 다리 교) 철교(鐵橋=쇠다리), 가교(架橋=고가다리), 부교(浮橋=舟橋=배다리), 교각(橋脚=다리기둥), 교두보(橋頭-堡), 육교(陸橋=구름다리), 연륙교(連陸橋), 판교(板橋=널다리), 석교(石橋=돌다리), 잠수교

- (橋: 고유명사, 다리이름) 오작교, 영도교, 서해대교, 영동대교, 행주대교, 서강대교, 광진교, 백제교, 수표교 등

- (橋: 고유명사, 지명) 지금은 같은 명칭을 가진 다리가 없거나 유명무실하나, 대개 과거에 다리가 있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 그대로 사용되는 경우다. 광교동, 석교동, 판교동 등.

 

- 도(道: 길) 09 장소: 길에 관한 접미어 편 참조

- 로(路: 길) 09 장소: 길에 관한 접미어 편 참조

 

배와 비행기의 플랫폼 항(), 그리고 항()

육상의 교통수단을 타고 내리는 플랫폼이 역(驛)이라면, 물(강 바다 호수)과 하늘을 이용하는 교통수단의 플랫폼은 항(港)이다. 배를 타고 내리는 곳은 항구, 부두며, 비행기를 타고 내리는 곳은 공항(空+港)이다.

선박의 경우 항(港)자만 붙여도 배가 정박하는 항구의 뜻이 되지만 비행기의 플랫폼은 공항(空港)으로 써야 구분이 된다.

항(航)은 배와 비행기의 운행을 가리키는 말이다.

 

- (港 선박) 항만(港灣) 항구(港口) 출항(出港) 입항(入港) 국제항(國際港) 무역항(貿易港=교역항, 商港), 어항(漁港), 보급항, 군사항, 기항(寄港), 폐항

- (港 항공) 공항(空港),

- (港 공통) 개항(開港),

 

- (航 배) 항해(航海) 항운(航運)

- (航 항공) 항공(航空)

- (航 공통) 출항(出航), 항로(航路), 운항(運航), 항행(航行), 개항(開航), 휴항(休航), 항법, 결항(缺航), 항적(航跡), 감항, 회항(回航), 순항(順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