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도에 관한 접미어/소통에 관한 명칭들

10 교통: 이동에 관한 접미어 발(發) 착(着) 행(行)

by Chiron 21 2025. 2. 2.

<교통과 통신>

교통(交通)이란 이동과 소통에 관한 개념이다.
‘여러 종류의 이동수단을 통하여 사람이나 재화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기본적인 정의인데, 같은 개념으로 서신이나 의견/정보가 오고가는 것, 이를 통하여 사람과 사람, 또는 집단과 집단, 나라와 나라가 서로 관계를 맺고 오고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국어사전 참조).

교통이란 소통의 일부, 또는 방법론이라 정의할 수 있다. 소통은 교통수단과 통신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물질의 이동/운반을 위한 수단(교통수단)으로는 자동차 기차 비행기 선박 등이 있고, 비물질의 이동을 위한 수단(통신수단)으로는 소리와 빛, 문자, 도형, 그리고 전기와 전자적 방법들이 있다. 라디오 책 신문 TV 확성기 서치라이트 레이저빔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런 방법들 전체가 ‘미디어’라 할 수 있다. 현대의 인터넷통신은 대부분의 미디어들을 대신할 수 있고, 또 하고 있다 (모두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님).

 

○ 이동에 관한 접미어 발(發) 착(着) 행(行)

- 발(發): 떠나다, 보내다

- 착(着): 다다르다, 나타나다

 

출발과 도착을 의미하는 접미어로서 ’–발‘과 ’-착‘은 시간이나 장소의 명칭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닐 행(行)‘은 이동하는 동작 전체를 가리키는데, 이동과 관련하여 접미어 ’-행‘을 사용할 때는 가는 방향, 목적지를 가리킨다. 또 의미를 확장하여 사람이나 화물의 이동이 아닌, 소식의 이동, 정보의 이동에 대해서도 행(行) 발(發) 착(着)이란 접미어가 사용될 수 있다. 

 

- (發, 접미어 예시1) 서울발, 부산발, 목포발, (~에서 출발한)

- (發, 접미어 예시2) 어제발, 1일발, 새벽발,

- (發, 떠나다 보내다 쏘다) 출발(出發) 발차(發車) 시발(始發) 발사(發射) 발광(發光) 발산(發散) 발송(發送) 발포(發砲) 휘발(揮發) 선발대(先發隊)

- (發, 일으키다.연원) 발전(發電) 발원지(發源地) 발음(發音) 발정(發情) 발족(發足) 도발(挑發) 발발(勃發) 발주(發注) 산발(散發)적 유발(誘發) 자발(自發)적 촉발(觸發) 불발(不發) 분발(奮發) 발현(發現=發顯) 발휘(發揮) 발행(發行) 우발적(偶發的)

 

- (着, 접미어 예시) 부산착, 목포착, 정오착, 6시착

- (着, 닿다, 붙다, 도달) 도착(到着), 착륙, 선착장, 착지(着地), 봉착(逢着) 당착(撞着) 귀착(歸着), 접착, 집착(執着), 착수(着手)

 

- (行, 접미어 예시, toward) 상행, 하행, 강릉행, 오이도행, 수원행, 뉴욕행, 청도행

- (行, 다니다, 가다, 움직이다, ) 출행(出行), 순행, 운행, 보행, 상행, 하행, 평행, 초행, 통행(通行), 주행, 역주행, 행군, 행진, 횡행, 유행(流行), 여행, 행보, 행장(行裝), 행동, 행성(行星), 행방(行方), 비행(飛行), 발행(發行), 보행(步行), 행로, 미행(尾行), 미행(微行=暗行)

- (行, 하다, 베풀다, do, act, behavior) 시행(施行), 현행(現行), 실행, 행사, 행각, 행동, 행색, 행세(行世), 행태, 행실, 행위, 행적, 행정, 비행(非行), 대행(代行), 만행(蠻行), 악행, 언행, 발행(發行), 강행(强行), 거행, 고행, 관행, 연행, 역행, 이행(移行/履行), 폭행, 흥행(興行), 미행(美行)

- (行, 행렬, 줄, line) 행렬(行列), 행간(行間), 행서(行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