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도에 관한 접미어/소통에 관한 명칭들4

10 교통: 시설에 관한 접미어, 역(驛) 교(橋) 항(港) 항(航) ○교통 시설에 관한 접미어 역(驛) 교(橋) 도(道) 로(路)사람과 사물을 이동시키는 교통수단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시설과 장치들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시설은 길(도道 로路)과 정차시설(Platform)이다. 플랫폼은 사람이 내리고 타는 시설, 도로는 이동을 위한 시설이다. 길은 여러 종류의 도로 외에도 터널과 교량(-橋)을 포함한다. 지금은 한자어를 쓰지 않고도 ‘-길’을 접미어로 한 명칭이 많이 쓰이고 있으나, - 역(驛) - 교(橋) - 도(道) -로(路)와 같은 접미어가 붙어 있으면, 길과 기차역과 다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터널의 이름은 한자어나 한글로 바꾸지 않고 영어명칭 ‘-터널’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터널의 한국어는 굳이 바꾸자면 굴(窟)이지만, 출구와 .. 2025. 2. 7.
10 교통수단에 관한 접미어 차(車) 선(船) 기(機) 교통수단은 동력을 이용하는 것과 인력, 또는 자연이나 동물의 힘을 이용하는 것들이 있는데, 대중적인 수단은 동력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동력수단으로는 자동차와 기차(-車), 선박(-船)과 비행기(-機) 등이 있다. 차(車)는 ‘거’로 읽기도 하는데, 이 글자가 생길 때의 개념에 따라 ‘수레 차’ 혹은 ‘수레 거’로 부른다. 어떤 발음으로 읽느냐는 경우에 따라 다른데(대개 관습에 따라 부름), 어떻게 읽든 의미는 같다. 선(船)은 배나 비행기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붙일 수 있다. 사람이 하늘을 날기 시작한 것은 엔진으로 양력을 일으키는 비행기보다 풍선을 이용한 기구가 먼저였다. 1800년대 비행기구를 개발한 연구자들은 이 기구를 ‘하늘을 나는 배’라는 개념으로 생각했다. 초기에 이미 10인 이상이 탈 .. 2025. 2. 4.
10 교통: 이동에 관한 접미어 발(發) 착(着) 행(行) 교통(交通)이란 이동과 소통에 관한 개념이다. ‘여러 종류의 이동수단을 통하여 사람이나 재화가 한 지역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기본적인 정의인데, 같은 개념으로 서신이나 의견/정보가 오고가는 것, 이를 통하여 사람과 사람, 또는 집단과 집단, 나라와 나라가 서로 관계를 맺고 오고가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국어사전 참조). 교통이란 소통의 일부, 또는 방법론이라 정의할 수 있다. 소통은 교통수단과 통신수단을 통해 이루어진다. 물질의 이동/운반을 위한 수단(교통수단)으로는 자동차 기차 비행기 선박 등이 있고, 비물질의 이동을 위한 수단(통신수단)으로는 소리와 빛, 문자, 도형, 그리고 전기와 전자적 방법들이 있다. 라디오 책 신문 TV 확성기 서치라이트 레이저빔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런 방법들 전.. 2025. 2. 2.
10 교통: 길에 관한 접미어 선(線) 도(道) 로(路) 가(街) 길을 나타내는 접미어 로(路) 가(街) 도(道) 선(線)  한국어 ’길‘은 여러 가지 의미로 사용된다. 이것은 한국어뿐 아니라, 한자어나 영어를 포함한 대부분 언어에서 마찬가지다. 길은 기본적으로 사람이나 차마(車馬=탈것과 동물을 동시에 이르는 말)가 이동할 수 있는 땅 위의 공간(=道路, road, street, way)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의미가 확장되어 생각이나 방법들을 전개하는 경로(=方道, way, path, means), 또는 그 기준과 척도(=道里, 원칙, criteria, moral, principles, duty)까지를 의미하고 있다. 한국어에서 길을 나타내는 한자어는 경우에 따라 –도(道) -로(路) -가(街) -선(線) 등의 접미어 형태로 활용된다. 이 가운데, –선(線)은 ’노선(.. 2025.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