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도에 관한 접미어/소통에 관한 명칭들14

12 그리움과 헤아림 억(憶) 모(慕) 련(戀) 우(憂) 려(慮) ○ 그리움이 있는 생각: 억(憶) 모(慕) 련(戀) - 억(憶, 생각하다, 울적한 생각) 기억(記憶), 추억(追憶), 회억(回憶) - 회(懷, (주로 생각을) 품다) 감회(感懷), 소회(所懷), 회포(懷抱), 회의(懷疑), 회유(懷柔. 어루만져 달래거나 설복시킴→懷誘), 회고(懷古, 옛일을 생각함. cf.回顧), 회인(懷人), 회춘(懷春), 회향(懷鄕=향수鄕愁), 회임(懷妊)  - 모(慕, 사모하다, 숭배하다) 숭모(崇慕), 흠모(欽慕=흔모欣慕), 경모(敬慕→경모景慕), 애모(愛慕, 살아있는 사람을), 애모(哀慕, 떠나간 사람을=추모追慕), 광모(狂慕, 미칠 듯이 사모함), 사모(思慕), - 련/연(戀, 사모하다, 그리워하다, 그리움)연인, 연심(戀心), 연정(戀情), 연모(戀慕), 연애(戀愛), 연적(.. 2025. 3. 2.
12 바램이 있는 생각: 의(意) 지(志) 염(念) 원(願) 망(望) ○ 바램이 있는 생각: 의(意) 지(志) 염(念) 원(願) 망(望) 생각 중에도 막연한 생각이 있고, 자기 바램이 있는 생각이 있으며, 부정적이고 염세적인 생각도 있고, 긍정적이며 희망적인 생각도 있다. 생각과 연관된 한자어 중에, 희망적 생각에 주로 쓰는 글자, 부정적 생각에 주로 쓰는 글자가 따로 있다. 의지(意志)와 염원(念願) 희망(希望)에 사용된 글자들은 주로 적극적 긍정적 희망적 생각과 연관이 있다.  의(意) will, 생각하다, 뜻, 의리, 형세- (意, 생각) 의견(意見), 의사(意思), 의식(意識), 임의(任意), 자의(自意), 조의(弔意), 진의(眞意), 총의(總意), 합의(合意), 성의(聖意), 의중(意中) - (意, 바램) 득의(得意), 본의(本意), 민의(民意), 불의(不意→의외.. 2025. 2. 28.
12 생각과 사상: 사(思) 상(想) 고(考) 사람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우리가 쓰는 말 가운데도 ‘생각’과 관련된 어휘는 상당히 많고 다양하다.  생각하고 궁리하는 능력을 뜻하는 사고(思考), 깊이 오래 생각하는 것을 뜻하는 심사숙고(深思熟考), 정밀하게 살펴서 생각을 가다듬는 고찰(考察), 생각으로 헤아려보는 고려(考慮), 저마다 생각하는 방식의 틀을 뜻하는 사상(思想), 보이지 않는 것을 짐작하는 상상(想像), 닥쳐올 수 있는 위험에 대해 미리 생각해보는 염려(念慮)와 우려(憂慮), 옛일을 보존하는 기억(記憶), 그것을 되새기는 회고(回顧), 회상(回想), 애틋이 돌아보는 추억(追憶), 마음에 안도하는 회심(會心), 그리워하는 연모(戀慕), 옛 사람에 대한 추모(追慕), 생각하여 뜻을 세우는 결심(決心), 자기 생각을 믿는 신념(信念), 생각을.. 2025. 2. 28.
12 언론 미디어: 알릴 보(報), 기록할 지(誌) 글과 기호/ 그림을 작성해도 그것을 사람들에게 전달해줄 매개 수단이 없으면 의사소통은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러한 기능을 맡는 수단이 미디어다. 전통적인 미디어는 문자를 옮기는 활자매체(책과 신문 잡지 등), 소리와 영상을 옮겨주는 전파매체(라디오, 전화, 전신, 확성기, 텔레비전) 같은 것이 중심이다. 활자매체는 그것을 손으로 직접 전달해줘야 된다는 문제가 있었고, 라디오와 텔레비전은 전파되는 순간이 지나고 나면 더 이상 남아있지 않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지금은 문자들도 케이블이나 전파를 타고 전달되고, 소리나 영상들도 컴퓨터 저장장치에 보존되어 언제고 몇 번이고 같은 메시지를 반복해 시청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미 1백 년 전 화가들 중에는 사람들이 언제 어디서나 멀리 떨어져 있는 사람과 .. 2025. 2. 28.
12 기록: 표(表) 도(圖) 화(畵) ○표(表) 도(圖) 화(畵) 문서는 문자(text) 외에도 표(表) 도(圖)와 화(畵=그림과 사진)를 포함해서 작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 세 가지는 읽는 사람에게 시각 정보(Image)를 제공하여 문서의 내용을 더 정확하고 빠르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문자만 가득한 책보다 그림이 곁들여진 책, 특히 스토리 전개를 그림으로 보여주는 만화책이나 영상자료들은 쉽게 흥미를 끌고 쉽게 이해되기도 한다. 컴퓨터를 이용한 이미지 작성이 쉬워진 이후 이미지를 포함하지 않은 문서나 책을 찾아보기 어려울 정도가 되었다. 표(表, table)는 리스트나 목록 등 논리적 내용을 압축적으로 모아 보여주는 것이고, 도(圖, diagrams, graphics)는 논리적 내용을 입체적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그림이며, 화(畵, .. 2025. 2. 24.
12 기록: 기(記) 록(錄) 부(簿) 첩(帖) 지(志) 지(誌) ○기록(記錄): 기(記) 록(錄) 인간이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가장 독특한 능력 중 하나는 기록의 능력이다. 기록은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뛰어넘어 생각과 기억을 확장시킬 수 있는 유용한 통로다. 이러한 기록의 능력 덕분에 인간은 역사와 과학지식을 공유하면서 지구상에서 가장 강력한 힘을 발휘하는 종(種)이 되었다.록(錄)과 서(書)는 모두 글자로 쓰여진 것을 의미하지만, 서(書)가 주로 '글자와 문장'에 무게를 둔다면, 록(錄)은 주로 그것의 보존능력에 무게를 둔다. 록은 기록(記錄, record, archives)이란 뜻이다. 기록(記錄)의 기(記)는 “적다, 기록하다, 기억하다(새기다), 문서, 글”을 뜻하고 록(錄=쇠 금金+새길 록彔)은 “기록하다, 문서, 목록, 취하다, 맡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2025. 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