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대어: 간지(干支) =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000 간지(干支) - 천간(天干)과 지지(地支) - 간(干) 방패 간; 방패, 범하다, 막다, 방어하다- 지(支) 가를 지; 가르다, 가지, 지탱하다 간지(干支)는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줄임말로, 역학(易學)에서 음양오행(五行) 이론에 따른 기본 분류코드인 ‘10간12지’를 의미한다. 간(干)과 지(支)라는 글자가 그것만으로는 서로 상대적 의미를 갖고 있지 않으나, 간(干)이 하늘의 기운을 나눈 십간(十干)의 단위이고, 지(支)가 땅의 기운을 나눈 십이지(十二支)의 단위로 쓰이기에 ‘간지’라는 어휘에 한해서는 서로 상대적 지위로 조합된 것이다. 10 천간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甲乙 丙丁 戊己 庚申 壬癸 木 - 火 - 土 - 金 - 水 - 12 지지의 순서는 다음과 .. 2025.05.17
- 19 동물: 鳥 蟲 魚 貝/ 飛 角 猛 獸 皮 尾 ○새 조(鳥): -(새 종류) 백조(白鳥, 흰 새, 고니), 흑조(黑鳥), 팔색조(八色鳥), 타조(駝鳥)-(새) 조류(鳥類), 길조(吉鳥)↔흉조(凶兆), 조수(鳥獸), 탐조(探照), 국조(國鳥), 조롱(鳥籠) -(비유) 조감도(鳥瞰圖), 조총(鳥銃, 새총, 화승총), ○벌레 충(虫), 충(蟲, 벌레, 구더기)-(벌레) 곤충(昆蟲), 삼엽충, 해충(害蟲)↔익충(益蟲), 유충(幼蟲)↔성충(成蟲), 파충(爬蟲)류, 동충하초(冬蟲夏草), 비충(飛蟲=날벌레) -(해충) 방충(防蟲, ~網), 살충제(殺蟲劑), 충치(蟲齒), -(해충) 병충해(病蟲害), 기생충(寄生蟲)→ 구충(驅蟲, ~劑)-(비유) 식충(食蟲)이, 책벌레, ○독벌레 고(蠱) 독벌레, 기생충, - (비유) 고혹(蠱惑)-(괘) 주역의 제 18괘, 산.. 2025.05.15
- 19 동물: 야생, 半야생, 사육동물 야생동물, 사육동물, 인간 동반종인간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동물은 세 종류로 나뉜다. 사람이 길들여 기르는 사육동물과 인간과 접촉하지 않고 야생의 상태로 살아가는 야생동물, 그리고 사람에게 길들여지지는 않지만 텃새처럼 사람 주변에서 주로 사는 '반(半)야생동물'들이다. 그러나 인간 주변에 사는 야생동물들을 지칭하는 용어는 아직 통일되어 있지 않다. 학자들에 의해 두루 사용되는 용어들이 있는데, ‘도시야생동물(urban wildlife)’ 또는 ‘인간 적응종(synanthropic species)’이라는 명칭이 가장 널리 쓰인다. synanthropic는 그리스어 'syn'(함께)와 'anthropos'(인간)가 조합된 말이다. 우리말로는 ‘인간 동반종’ ‘도시 적응종’이라고도 한다. 비둘기, 집쥐, 까치,.. 2025.05.15
- 07 관계: 사부(師父) 사형제(師弟), 서형제(庶兄弟)와 적형제(嫡兄弟) in-depth learning 1 弟子: 사부(師父), 사형(師兄), 사제(師弟) 아우를 가리키는 제(弟)는 제자(弟子)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제자(弟子)는 아우 제(弟)와 아들 자(子)가 합쳐진 말로 누구에게서 가르침을 받는 사람을 일컫는다. 아들이란 의미보다 아우라는 의미가 먼저다.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사이가 형과 아우 정도로 가까울 때, 서로 상대를 가리켜 사형(師兄)과 사제(師弟)로 부를 수 있다(중국 영화에서 자주 보는 광경이다). 사형과 사제 관계는 가르치고 배우는 관계지만, 같은 세대, 항렬에 속하는 형제관계와 같다. 만일 둘 사이의 관계가 나이차가 많거나 도력의 차이가 많아 마치 부자(父子)관계처럼 간격에 거리가 있는 경우에는 사형이 아니라 사부(師父)라는 호칭을 쓴다. .. 2025.05.12
- 19 동물: 育畜관련 畜, 育, 牧, 養, 飼, 乳 가축(家畜)은 집 가(家)와 쌓을 축(畜)의 합성이다. 축(畜)은 ‘쌓다, 모으다, 비축하다, 보유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다. 즉 가축은 집안에 모은 재산이란 의미로 만들어진 단어다. 글자가 만들어질 당시는 지금 같이 저축이나 주식 같은 수단이 없을 때이므로 재산을 비축하고 불리는 데 있어 동물을 잘 기르고 번식시키는 것 이상이 수단은 별로 없었을 것이다. 뒤에 축(畜)에서 재산을 모은다는 의미는 축(蓄, 모으다, 쌓아두다)자로 발전되는데, 비축(備蓄) 축재(蓄財) 저축(貯蓄) 축적(蓄積) 등과 같이 활용범위가 넓어졌다. 대신 축(畜)은 동물을 기르는 일에 국한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 같다. 집에서 기르는 동물은 가축(家畜), 동물 기르는 일을 육축(育畜)이라 하고, 동물 기르는 산업을 축산(畜産)이라 부.. 2025.05.07
- 19 동물: 가축의 종류 牛 馬 豚 羊 鷄 犬 사람이 기르는 동물을 가축이라고 하며, 동물 기르는 일을 축산이라고 한다. ○사람이 가장 많이 기르는 여섯 가지 동물(六畜) 사람이 기르는 동물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동양권에서(주로 韓中日) 가장 많이 기르는 가축은 다음 여섯 가지다. 이를 육축(六畜)이라고 부른다. 이 동물들은 12 지지(地支)를 비롯하여 일반 단어에서도 비유적으로 흔히 사용하므로, 접미어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소(牛) 말(馬) 돼지(豚) 양(羊) 닭(鷄) 개(犬) 참고로, 12지지에 등장하지만 육축에 들지 않는 동물들은 다음 여섯 가지다.쥐(鼠) 호랑이(虎) 토끼(兎) 용(龍) 뱀(蛇) 원숭이(猿) [ 참고 ] 12 지지(地支) 동물을 지지의 명칭과 함께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자(子) 쥐/ 축(丑) 소/ 인(寅) 호.. 2025.04.27
- 18 식물-영농과 관련된 農 沃 圃 肥 菜 栽 椄 ○농사 농(農), 농사짓다, 기르다 - 영농(營農=경농經農) 농업(農業) 농사(農士) 경농(耕農) - 농민(農民) 농장(農場), 농원(農園) ○기름질 옥(沃) 물을 대다 - 옥토(沃土), 옥답(沃畓, 문전옥답門前沃畓), 옥야(沃野, ~千里), 비옥(肥沃)- 옥도(沃度, 요오드), ○밭 갈 포(圃, 圑) 채마밭, 밭갈다, - 묘포(苗圃), 삼포(蔘圃), 약포(藥圃=약원藥園), - 원포(園圃 밭과 정원) 과실나무와 채소 따위를 심어 가꾸는 뒤란이나 밭.- 현포(玄圃): 현(玄)은 검다, 하늘→ (중국전설) 천제가 살고 있는 곳 * 농지(農地)에 관한 한자어는 다음을 참조하라 09 장소: 땅 ☞ 농사짓는 땅: 지(地) 전(田) 답(畓) 원(園) 원(原) ○살찌울 비(肥) - 두엄, 거름, 비료- (거름).. 2025.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