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사람의 이동이나 물류와 같은 물리적 소통도 중요하지만, 생각과 사상을 교환하는 의사소통도 없어서는 안 된다. 생각과 사상을 교환하는 매개는 언어와 신호 등이며, 이러한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해 문자, 기호, 예술작품과 예술 퍼포먼스, 문학 등을 수단으로 활용한다. 대화, 연설, 토론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 퍼포먼스도 소통의 수단이고, 방송 신문 잡지 인터넷 페이지나 메신저 같은 미디어들은 이 수단의 확장이다. 명상과 선(禪), 꿈 역시 넓은 의미에서 소통의 수단이라 할 수 있는데, 이 독특한 수단은 자아와의 소통, 미지의 것들과의 소통을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삼자와의) 소통과는 차이가 있다. 개인적인 의지적 노력이 필요한 수단이긴 하나, 이 방법으로는 자연물이나 동식물과의 소통도 가능하다.
여기서는 자연이나 예술에 관련된 어휘들을 뒤로 미루고, 협의(狹義)의 소통인 언론 미디어 언어와 사상에 국한하여 살펴보겠다.
* 청각적 소통도구 언(言) 어(語) 화(話) 사(辭) 설(說) 담(談) 론(論) 음(音)
○ 언어(言語)
언(言)과 어(語)는 모두 ‘말씀 언, 말씀 어’로 부르는데, 입소리로 말하는 말씀 뿐 아니라 문자로 적힌 말씀, 즉 말과 글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실제 활용에 있어서는 약간 차이가 있다. 언(言)은 소리내는 말, 어(語)는 문자로 된 글을 의미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다.
말씀 언(言)
- (言, 말, 말하다) 명언(名言), 명언(明言), 고언(苦言)↔감언(甘言), 망언(妄言), 고언(古言, 옛말), 무언(無言), 무언(誣言→무고誣告), 발언, 공언(公言), 공언(空言=빈말)↔허언(虛言=虛語=虛辭), 방언(方言), 방언(放言, 함부로 하는 말), 선언(宣言), 격언(格言)↔잠언(箴言, Aphorism), 단언(斷言), 과언(過言), 다언(多言)↔과언(寡言), 유언(遺言), 진언(進言, 忠言, 苦言), 유언(流言, ~蜚語), 감언(敢言, ~之地), 용언(用言)↔체언(體言), 용언(庸言, 일상의 말), 제언(提言), 제언(題言), 폭언(暴言), 진언(眞言, 종교적 가르침, 주문), 예언
- (言, 접두어) 언급(言及), 언동, 언행, 언로(言路), 언론(言論), 언명(言明), 언설(言說), 언변(말솜씨, 말재주), 언사(言辭 말씨), 언성(言聲), 언약(言約), 언쟁, 언질(言質), 언중(言衆)
말씀 어(語)
- (語) 언어의 종류: 한국어, 영어, 중국어, 프랑스어, 남방어, 북방어, 아람어, 헬라어, 라틴어, 고대어, 중세어, 현대어(現代語) 등.
- (語) 문법: 주어(主語), 목적어(目的語) 지시어, 대립어→대척(對蹠語), 대응어, 상대어(相對語)→반대어(反對語), 전체어(全體語)↔부분어(部分語), 유의어(類義語) 유사어, 접어(接語), 파생어, 선행어, 중심어, 매개어,
- (語) 언어의 특성: 토속어, 고유어, 국어(國語), 외국어, 외래어, 교통어(交通語)↔공용어(公用語), 내용어(內容語), 은어(隱語), 속어(俗語), 비어(卑語), 비어(蜚語=飛語) 신조어(新造語), 풍자어,
- (語) 언어의 용도: 용어(用語, ~용어), 포르노-어, 신성어(神聖語), 금지어(禁止語), SNS어,
- (語) 단어, 합성어, 복합어, 혼합어, 의태어, 의성어,
- (語, 접두사) 어간(語幹), 어두(語頭)↔어미(語尾), 어구, 어의, 어휘, 어근(語根), 어절, 어구(語句), 어감(語感), 어기(語氣)→어세(語勢), 어눌(語訥), 어록(語錄), 어법(語法), 어색(語塞)하다, 어조(語調), 어투(語套) 어문(語文) 어록, 어원(語原/語源)
'제도에 관한 접미어 > 소통에 관한 명칭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 교통: 시설에 관한 접미어, 역(驛) 교(橋) 항(港) 항(航) (0) | 2025.02.07 |
---|---|
10 교통수단에 관한 접미어 차(車) 선(船) 기(機) (0) | 2025.02.04 |
10 교통: 이동에 관한 접미어 발(發) 착(着) 행(行) (0) | 2025.02.02 |
10 교통: 길에 관한 접미어 선(線) 도(道) 로(路) 가(街) (0) | 2025.0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