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도에 관한 접미어/소통에 관한 명칭들

12 소통 사(辭) 설(說) 담(談) 론(論) 화(話)

by Chiron 21 2025. 2. 14.

○ 말과 글 사(辭) 설(說) 담(談) 론(論) 화(話)

*사(辭)- 말, 논술, 하소연하다, 사양하다. (견해를 담은 말이나 글)
*설(說)- 말, 서술, 논하다, 해석하다. (이론이나 주장이 담긴 말이나 글)
*담(談)- 말, 이야기, 언론, 농담하다, 희롱하다. (이야기를 담은 말이나 글)
*론(論)- 말하다. 진술하다. 헤아리다, 왈가왈부하다. (진실성이나 타당성 여부를 따지는 말이나 글)
* 화(話)- 말하다 이야기하다, 이야기 (주고받는 말과 이야기) 

 

-사(辭) -설(說) -담(談) -론(論)은 각각 말이란 뜻을 가진 접미어로 활용되지만, 사설(辭說)과 담론(談論)이란 독립적인 단어 형태로 흔히 사용된다.

두 단어는 주장이나 이야기를 말이나 글을 통해(특히 말을 통해) 늘어놓는 것이란 점에서 의미가 가깝지만, 뉘앙스나 정밀한 뜻에 있어 차이가 있다. 사설이라고 하면 이미 완성해놓은 이야기를 화자(話者) 입장에서 풀어놓는 것이고, 담론은 내용을 미리 준비하더라도 그에 대한 타인의 의견을 들어 토론을 전개하거나 주장을 보완해갈 것을 전제로 하는 발화(發話)/발제(發題)문의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사설은 운율에 맞춰 타령이나 가사(歌辭)처럼 공연되기도 하고, 답을 구하지 않는 일방적 전개로 구사되는 반면, 담론은 상대를 특정하든 않든 발제에 대한 피드백을 염두에 두고 촘촘한 논리의 형식으로 작성되거나 질문의 형식을 갖추고 작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논설 형식의 글을 연속적으로 주고받거나, 어떤 주제를 놓고 심층적으로 논의를 주고받는 것도 담론에 속한다.

사-설-담-론-화는 모두 동사이면서 명사로 쓰일 수 있다(한자어가 대부분 그렇긴 하다).

 

사(辭) 말, 말하다, 사양하다

- (辭, 말씀) 식사(式辭), 축사(祝辭), 송년사, 신년사, 송사(送辭)↔답사(答辭), 찬사(讚辭=頌辭), 영결사(애도사), 이임사↔취임사, 음사(淫辭), 개회사, 격려사, 결사(訣辭, 이별의 말), 결사(結辭, 맺는 말), 겸사(謙辭=겸양사), 가사(歌辭=가사문학), 고사(告辭, 상급자가 깨우치는/훈시하는 말), 치사(致辭, 致詞=致語)→공치사(空致辭), 장진주사(將進酒辭), 계사전(繫辭-傳)

- (辭, 문법) 수사(修辭, ~法, ~學),

- (辭, 사양하다) 고사(固辭, 제의 권유를 굳이 사양하는 말)→고사(苦辭), 사의(辭意)→사표(辭表), 사직, 사임(辭任), 사퇴, 사절(辭絶), 사양(辭讓)

- (辭, 접두어) 사전(辭典=事典), 사령(使令,-狀),

 

설(說) 말하다, 고하다, 달래다, 소문(풍문), 이론

- (說, 이론, 소문) 가설(假說), 낭설(浪說), 담설(談說), 통설(通說), 학설,

ex. 지동설(地動說), 대륙이동설, 귀토지설(龜兎之說), 연기설(緣起說), 예수재림설, 용불용설, 4원소설, 성악설, 성선설, 현상설, 거인설(巨人說), 입자설, 파동설(波動說), 감퇴설(기억~), 소멸설,

- (說, 풍문) 로비설, 성형설, 붕괴설, 결별설, 밀애설, 이혼설, 별거설, 공작설, 조작설, 배후설, 담합설, 뇌물설 등 의혹을 가질만한 다양한 부정적 의미의 명사 뒤에 –설(說)을 붙여 소문을 지칭할 수 있다. 대개 뒷담화로 퍼져나가는 소문들이다.

- (說, 가르치다, 달래다, 주장) 설교(說敎), 설법, 설득, 설명, 해설, 강설(講說), 논설(論說), 사설(私說), 논설(論說), 연설(演說), 설복(說伏), 설파(說破),

- (說, ‘세’, 대개 주장하는 말이다) 유세(遊說), 세객(說客)

- (說, 이야기) 소설(小說), 설화, 전설, 음담패설(淫談悖說), 귀토지설,

- (說, 말) 각설(却說), 설문(設問), 설원(說苑; 중국 漢시대에 유향이 지은 설화모음집)

 

담(談) 말, 농담하다 희롱하다

- (談, 이야기, 사연) 농담(弄談)↔진담(眞談), 만담(漫談), 연애담, 결혼담(結婚談), 인생담, 회고담(懷古談), 몽유담(夢遊談), 출생담(出生談), 동물담(動物談), 무용담(武勇談), 괴담, 속담(俗談), 잡담(雜談), 청담(淸談), 육담(肉談), 야담(野談), 여담(餘談), 폭로담, 성공담, 실패담(失敗談), 경험담(經驗談), 기이담(奇異談), 목격담(目擊談), 한담(閑談)

cf. 담(譚, 주로 길고 묵직한 이야기) 영웅담(英雄譚), 금기담(禁忌譚), 후일담(後日譚),

- (談, 대화) 회담(會談), 담론(談論), 담소(談笑), 덕담(德談), 상담(相談), 상담(商談), 간담(懇談), 정담(政談), 대담(對談), 정담(情談 ex.노변정담爐邊情談), 담판(談判), 사담(私談)↔공담(公談), 담합(談), 필담(筆談), 혼담(婚談), 밀담

- (談, 비유) 수담(手談, 바둑),

- (談, 글) 정담(政談)

- (談, 선언적) 장담(壯談), 담화(談話)

 

논/론(論) 말하다. 진술하다. 헤아리다, 논의, 왈가왈부(따지다).

(진실성이나 타당성 여부를 따지는 말이나 글)

- (論 주장) 불가지론, 진화론, 중론(衆論), 중론(重論), 지론(持論), 논리, 논문, 논설, 논술, 논조, 논총(論叢), 논거, 논단(論壇), 논리, 논법(論法), 논점, 논지(論旨), 논평,

- (論 말) 서론 본론 결론 공론(公論) 담론,

- (論 논의) 토론(討論), 이론(異論), 의논(議論), 공론(空論) 논제(論題), 반론, 논박, 논쟁, 변론, 각론(各論)↔총론(總論), 논강(論講), 논객(論客), 논공(論功, ~行賞), 논단(論斷), 논찬(論贊)

 

화(話) 말하다, 이야기하다, 이야기

- (話, 말하다) 담화, 구화(口話), 대화(對話), 복화술(複話-術), 수화(手話), 화제(話題), 훈화(訓話), 화법(話法), 화술(話術),

- (話, 이야기) 강화(講話), 동화(童話), 민화(民話), 비화(悲話=哀話), 비화(祕話), 시화(詩話)

- (話, 고유명사) 백화(白話)

- (話, 확장) 전화(電話, ~機), 통화(通話), 화두(話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