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2 10

03. 의식주: 식사도구

2) 식사도구  ○ 그릇 기(器) 잔(盞=glass) 배(杯=cup) 물이나 술 같은 음료를 따라 마시는 용기로서 잔(盞)과 배(杯)가 있다. 영어에서는 모두 cup을 쓸 수 있는데, 우리말에서 접미어로 더 흔히 사용되는 한자어는 잔(盞)이다. 술과 차를 마시는 용기는 술잔 찻잔이고, 물을 마실 때 쓰는 용기는 외래어 ‘컵’을 많이 쓴다. 잔은 유리로 된 것(glass), 금속이나 목기(木器) 도기(陶器)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 (器) 식기(食器), 찬기(饌器), 약기(藥器) - (盞) 술잔 찻잔 / 등잔(燈盞)- 도기(陶器), 자기(瓷器/磁器), 도자기(陶瓷器), 토기(土器)- 배(杯) 건배(乾杯) 순배(巡杯) 축배(祝杯) 고배(苦杯) 독배(毒杯, 독배(毒盃) ○ 상(床) 탁(卓) 반(盤)음식 그..

03 의식주: 조리 도구 爐 器 機 刀

03 의식주: 조리 도구 爐 器 機 刀  식사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요리에 쓰는 내열 용기(器機)들이 필요하고, 요리를 각 사람 수대로 나눠 담을 그릇(器)이 필요하며, 이 그릇들을 올려놓을 식탁(床, 卓)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 먼저 식재료와 양념들을 준비한 뒤 조리 기구를 이용해 요리를 한다. 다음엔 조리한 음식들을 각각의 그릇에 나눠 담고 식탁에 모여앉아 식사를 합니다. 그 순서를 따라가며 식사에 필요한 도구들을 살펴보자.  * 조리도구에는 –칼, -솥, 도마와 같이 순 우리말이 쓰이는 경우가 훨씬 많다. 조리는 어느 민족에게나 오래된 기술인데, 특히 한민족들은 일찍부터 다양한 재료와 도구를 사용해 음식문화를 발전시켜 왔다는 증거일 것이다. 숟가락 저븐(젓가락) 같은 식사 도구들은 한국음식문화의 고..

01. 사람: 모든 사람을 나타내는 민(民), 생(生)

○ 백성 민(民) 민(民)은 ‘땅(坤)’을 의미하는 글자로, 평범한 사람들을 뜻한다. 민초(民草), 민중(民衆)이란 어휘가 있듯이, 사회와 국가를 이루는 기초가 되는 사람들이다. 영어에서 People이 여기에 해당한다. '백성(百姓)'이란 말은 '백(百) + 성(姓)'으로 100 가지 성씨의 사람들, 즉 헤아릴 수 없는 숫자의 사람들이란 뜻이다. 민(民)이 어느 수식어 뒤에 붙느냐에 따라, 그 사람들의 성격이 특정된다. - (자격) 국민 공민(公民) 시민 주민 도민(道民/ 島民/ 都民)   구민 군민 동민 면민 부락민 원주민- 평민, 서민(庶民=庶人, 凡民), 빈민(貧民), 천민(賤民), 민간인(民間人)- (상태) 교민(僑民), 이민(=이주민), 식민(植民), 원어민- (상태) 이재민, (피)난민, 영세..

03. 의식주: 음료편 酒 藥 茶 油 乳 水

07. 의식주와 관련된 한자어 – 음료 편 주(酒) 약(藥) 차(茶) 유(乳) 유(油)  ○ 술 주(酒) wine, alcohol drink, liquor 술은 인류 최초의 발명품 중 하나다. 과일이나 곡물을 발효시켜 만든다. 크게 발효주와 증류주로 나누며, 증류주는 발효주를 증류시켜 알콜 비중(도수)을 높인 술이므로 대개 독한 술이 된다. 발효주나 증류주 모두 재료를 발효시키는 데 드는 시간이 길어, 현대에 와서는 화학적 방법으로 만드는 알코올(에틸)도 있는데, 종종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증류주 중에는 소주 위스키 브랜디 리큐르 등이 있는데, 차이점은 *소주: 주류 또는 주박을 증류하여 제조. 현재 시판 소주는 당밀, 고구마 등을 원료로 발효한 액을 증류하여 주정을 만든 다음 적당한 농도로 희석한 희..

03. 의식주: 米 麵 餠 菓

○ 밥의 원료 쌀 미(米)- 백미, 현미(玄微), 정부미, 공양미,  그 외에는 대개 생산지의 지역명이나 상표명이 붙는다. - 경기미, 안남미, 수향미, 강화미,  ○ 밥을 대신하는 간편 주식 국수 면(麵)순 한국말로 ‘국수’라 한다. 한자어 면(麵)은 보리나 밀을 의미하는 맥(麥)자와 얼굴 면(面)자를 합친 형태를 띠고 있다. 본래 밀가루나 보릿가루 등 가루를 뜻하는 말이었으나, 음식에서는 식재료인 가루 자체를 먹는 일이 잘 없으므로 ‘가루로 만든 음식’을 지칭하다가 현대에 와서 ‘국수 면’으로 굳어졌다. 밀가루 음식은 세계적으로 다양하다. 빵, 구이, 국수 등이 대표적인데, 한국음식 중에도 다양한 종류의 국수가 있다. 주로 밀가루를 쓰지만, 메밀, 쌀과 같은 곡물가루도 사용된다. - 소면(素麪) 건면..

비공개 댓글은 삭제합니다.

별 이유도 없는 인삿말에 비공개를 걸어서 댓글 다는 분들은 의도를 모르겠군요. 상업성 낚시 댓글로 판단하고 보는 족족 삭제하겠습니다.  한국어 공부가 기본 수준을 넘어가는 외국인, 우리말 지식을 새로 다듬어 가려는 모국어 사용자(한국인) 들에게우리말 지식의 중요한 단계인 한국어 속의 한자어 이해를 돕기 위해 시작한 블로그입니다.  진지하게 엮어가고 있으니, 무의미한 댓글은 삼가주시기 바라고'한국어 속 한자어' 게재분에 대한 질문이나 토의 등의 댓글은 환영합니다.  많은 관심과 의견을 바랍니다.      - 키론 21

운영자 알림 2024.12.12

03. 의식주: 밥과 국과 찬 飯 湯 饌

○ 한식의 기본 주식 ‘밥 반(飯)’밥을 먹다. 밥. - 백반(白飯), 온반(溫飯, 따뜻한 밥, 장국밥), 제반(祭飯, 제사상 음식) - 소반(素飯, 고기반찬이 없는 소박한 밥), 소반(蔬飯, 변변치 않은 음식), - 조반(朝飯) 중반(中飯) 석반(夕飯) - 조식 중식 석식과 같은 용도로- 교반(攪拌) = 비빔밥 (또는 골동반(骨董飯), 탕반(湯飯=국밥)- (접두어로서) 반점(飯店), 반상(飯床), 반찬(飯饌), 반합(飯盒) - (밥) 쌀밥 잡곡밥 볶음밥 비빔밥 눌은밥(누룽지) 쉰밥 도시락밥   꿀밥 강냉이밥 조밥 더운밥 찬밥 주먹밥 김치밥 계란밥 대궁밥(먹다 남긴)  국밥 잡탕밥 귀리밥 채소밥(산채밥) 죽순밥 팥밥 나물밥 찰밥   도토리밥 묵밥 콩나물밥 찐밥(蒸氣밥)   보리밥(꽁보리밥, 대표성)   ..

03. 의식주: '먹다'의 보편 표현 '먹을 식(食)'

6. (의식주) 음식과 관련된 한자 접미어  ○ 먹다의 보편 표현 ‘먹을 식(食)’ - 밥, 먹거리, 씹다, 삼키다밥, 먹을거리, 씹다, 삼키다, 식사 등의 의미로 접미어나 접두어에 두루 사용된다. (food, eat) 먹거리를 독립된 어휘로 말할 때는 음식(飮食)이란 표현을 주로 쓰는데, 이는 음(飮=마시다)과 식(食=먹다)이 합쳐진 말이다. 즉 문자적으로는 밥과 국이 함께 갖춰진 정식의/정규의 식사 먹거리를 의미한다 하겠다. 그러나 실제에 있어서는 국이나 물 같은 마실거리가 포함되지 않은 군것질거리 정도의 먹거리도 음식으로 표현된다.    - (먹을거리) 곡식(穀食), 주식(主食)↔부식(副食), 음식(飮食), 양식(糧食),    소식(疏食=푸성귀로만 차린 거친 음식=소찬(素饌)), 악식(惡食, -하다..

02. 사람: 신비로운 정체성 鬼 神 靈 魂

05. 설명하기 어려운 귀(鬼)와 신(神) 영(靈) 혼(魂)  마음과 정신, 혼백, 영혼, 귀신, 넋 등은 한 마디로 설명하기 어려운 개념들이다. 그것은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선 개념들이기 때문이다. 너무 추상적인 데다 그 의미는 복합적이기도 해서 말하는 사람들끼리도 서로 오해가 많이 생길 수 있다. 그럼에도 우리 말 속에는 이와 관련된 한자어들이 많은 일상어 속에 녹아 있다. 이제 그 글자들의 접미어 활용을 통해 각각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 지를 살펴보자. (마음에 대해서는 05-1 ‘심(心) 력(力) 기(氣) 참조) 사람들은 대체로 ‘마음’을 얘기할 때는 가슴을 가리키고, 정신을 얘기할 때는 머리를 가리킨다. 영혼은 또 어디에 있는 것일까. 영어로 찾아봐도 마음과 정신은 mind heart spiri..

02. 사람: 바탕의 속성을 나타내는 '바탕 性'

○ 성격의 특성을 나타내는 ‘바탕 성(性)’ 성(性)은 본래 타고난 성품, 마음을 의미하는 글자다.본래의 독립된 의미로는 personality, nature 등의 어휘와 연관이 있다. 'natural personality' 정도가 되지 않을까. 접미어로 사용될 때는 그 성격이 제한적이다. 성질, 성품, 성격, 성향, 성징(性徵) 등의 의미로 활용된다.( 영어로 치면 ~ity, ~ness, ~ical 등).   - (성질) 관성, 내성, 항상성(恒常性), 열성(熱性), 발전성, 유동성, 유연성, - 만성(慢性), 급성(急性), 우성(優性)/열성(劣性), - 본성, 속성, 개연성, 보편성, 정체성, 정통성, 중요성, 채산성, 현실성- 이성(理性), 감성, 모성, 내성(耐性) - (수준 ~ity) 도덕성,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