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시간과 공간에 관한/장소에 관한 명칭들

08 공간, 지명에 붙는 접미어 (주소 단위)

by Chiron 21 2025. 1. 13.

<지명, 장소에 관하여>

 

사람에게 이름이 있듯, 땅에도 이름이 있다. 이것이 지명이다.

지명(地名)은 대개 그 땅의 유래나 특징을 담고 있다. 한국의 전통적인 지명에서 자주 등장하는 접미어에는 천(川), 산(山), 주(州), 평(平), 성(城) 같은 한자어들이 있다. 이러한 지명을 통해 그 지역의 지형이나 역사 등을 추정할 수도 있다.

먼저 땅의 공식적인 이름을 담는 주소(住所)의 행정 단위 명칭부터 알아보자.

 

나라 국(國)

독립된 주권을 가진 나라를 의미한다. 특정 종족의 명칭 뒤에 –국(國)을 붙이면 그 종족의 나라를 의미하게 된다. 고유명사로 쓰는 그 나라의 본 이름(정식 명칭, 또는 full name)과는 다른 호칭이 될 수도 있다. 나라의 고유한 명칭 외에 나라의 특성을 붙여 부르는 일반명사에서는 ‘–국(國)’을 ‘–국가(國家)’로 바꿔 붙여도 괜찮은 경우가 많다. 그 여부는 대개 어조(읽을 때의 리듬감)의 자연스러움에 따르는 것 같다.

 

- (나라이름): 한국(韓國) 중국(中國) 일본국(日本國) 영국(英國) 미국(美國) 등

- (특징): 외국(外國), 타국(他國=異國), 모국(母國=祖國), 만국(萬國), 남국(南國), 선진국, 개도국, 소국(小國), 대국(大國), 야만국, 천국(天國), 산유국(産油國), 강국(强國↔弱小國), 제국(帝國), 왕국(王國), 공화국(共和國),

- (이슈): 개국(開國), 건국(建國), 매국(賣國), 망국(亡國), 애국(愛國),

- (접두어로서) 국가(國家) 국가(國歌) 국기(國旗) 국시(國是) 국법(國法) 국기(國技) 국적(國籍) 국민(國民) 국헌(國憲) 국기(國紀) 국회(國會) 국정(國定) 국정(國政) 국혼(國魂) 국력(國力) 국부(國富) 국부(國父) 국장(國葬↔國喪) 국군(國軍) 국화(國花)

 

○ 행정구역 단위 도(道) 시(市) 읍(邑) 면(面) 동(洞) 리(里)

나라마다 영토 내에서 지역들을 인지하기 쉽게 구분해 행정명칭을 붙이는데, 그 형식은 다양하다. 면적과 인구에 따라 하나의 행정 단위가 웬만한 독립국에 필적할 만큼 큰 경우가 있는가 하면, 나라 전체의 규모가 하나의 단일 도시만큼 작은 경우도 있다. 또, 중앙집정제로 전국이 중앙정부의 관리를 직접 받는 경우도 있고, 지방단위별로 자율적인 정치와 행정조직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는 그 나라의 지리적 특성이나 역사 전통의 영향도 있으므로, 같은 규모의 자치단체나 행정단위라 해도 그 성격이 모두 같지는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대한민국은 중앙정부 아래 17개의 광역단체(행정단위)가 있다. 이 중 9개는 도(道, 특별자치도 3개 포함), 6개는 광역시, 그리고 1개 특별시(서울)와 1개 특별자치시(제주시)로 구성된다. 본래 특별시 광역시 각 도(道)로 단순하던 것을, 정부의 정책이나 인구의 밀집도 등에 따라 ‘특별’한 광역단체와 도시들을 설정하면서 복잡해진 것이다. 아마도 2006년 제주특별자치시 선정이 시작이었을 것이다(한국 사람들 ‘특별’한 것 참 좋아함). 

 

각 광역단체에는 시, 군, 구의 기초단체(행정단위)들이 속해 있다.
구(區)는 인구 50만명 이상의 대도시에 분할된 기초자치단체이며, 도(道) 아래로는 시(市)와 군(郡)이 있다. 시와 군의 차이는 역시 인구 기준이다. 다시 구(區)와 시(市) 아래로는 최소 자치(행정) 단위로 동(洞)이 설치되고, 군 아래로는 읍(邑)이나 면(面)이 설치되어 있다. 읍이나 면은 다시 여러 개의 리(里)나 동(洞)을 두고 있다.  

 

      - 도/특별시/광역시/(자치도/ 자치시)> 시/군/구> 읍/면/동> (리)

 

2천년대 들어 행정명칭을 중심으로 사용하던 기존의 주소 표기를 거리 중심 표기로 바꾸었다. 일반적인 주소에 기존의 ‘~군 ~면 ~리 00번지’를 대신하여 ‘~로(路), ~가(街)’ '~길' 등의 명칭이 사용된다. '-로(路)'는 길(거리, street)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