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각과 사상 >
사람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우리가 쓰는 말 가운데도 ‘생각’과 관련된 어휘는 상당히 많고 다양하다.
생각하고 궁리하는 능력을 뜻하는 사고(思考), 깊이 오래 생각하는 것을 뜻하는 심사숙고(深思熟考), 정밀하게 살펴서 생각을 가다듬는 고찰(考察), 생각으로 헤아려보는 고려(考慮), 저마다 생각하는 방식의 틀을 뜻하는 사상(思想), 보이지 않는 것을 짐작하는 상상(想像), 닥쳐올 수 있는 위험에 대해 미리 생각해보는 염려(念慮)와 우려(憂慮), 옛일을 보존하는 기억(記憶), 그것을 되새기는 회고(回顧), 회상(回想), 애틋이 돌아보는 추억(追憶), 마음에 안도하는 회심(會心), 그리워하는 연모(戀慕), 옛 사람에 대한 추모(追慕), 생각하여 뜻을 세우는 결심(決心), 자기 생각을 믿는 신념(信念), 생각을 다시 헤아려 보는 회의(懷疑), 결심을 다지는 의지(意志) 등등. 옛 것에 대하여, 미래에 대하여, 또 현재에 대하여 생각하여 헤아리고 판단하고 그것에 따라 지혜롭게 행동함으로써 인간은 지상에서 가장 강력한 생활권을 유지하고 확장해 왔다.
지혜를 헤아리는 생각 사(思) 상(想) 고(考), 바램을 담은 생각 의(意) 지(志) 염(念) 원(願) 망(望), 그리움이 담긴 생각 억(憶) 모(慕) 련(戀), 걱정과 대비의 뜻이 담긴 생각 우(虞) 려(慮) 등을 차례로 살펴본다.
○ 지혜를 헤아림: 사(思) 상(想) 고(考)
(思) 통찰 inspirit 의 경우와 같이 즉각적이고 감정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에 가깝다
- 생각의 종류
심사(深思): 깊이 생각함.
숙사(熟思=숙려熟慮): 곰곰이 헤아리며 생각을 깊게 함
의사(意思→의향意向): 무엇을 하고자 하는 생각. 의향.
문사(文思): 글에 담긴 생각.
상사병(相思病=화풍병花風病): 이성을 깊이 사모(思慕)하여 생기는 병
상사화(相思花): 수선화과의 여러해살이 풀 이름
- (思, 접두어) 사고(思考), 사상(思想), 사료(思料), 사색, 사모(思慕), 사유(思惟, 논리적, 철학적, 감성적인 헤아림), 사조(思潮), 사려(思慮=사념思念), 사춘기(思春期), 사변(思辨, 생각으로 옳고 그름을 헤아림)
(想) 약간의 시간을 가지고 대상을 머릿속에 이미지적으로 그려보는 생각에 가깝다
- (想): 사상(思想), 상상(像想), 예상(豫想), 회상(回想), 추상(追想=추억追憶), 연상(聯想), 무상(無想=무념無念)→비상(非想, 상념을 끊고 오직 하나의 대상에 정신을 집중하는 경지에 들어감), 이상(理想, Idea→이상향, 이상촌, 이상형, 이상화), 가상(假想→가상극, 가상도, 가상적국)
- (想, 접두어): 상념(想念), 상기(想起),
(考) 보다 긴 시간여유를 가지고 논리적으로 숙성시킨 생각에 가깝다.
- (考, 치밀하게 살피다): 상고(詳考), 사고(思考), 추고(追考→추고推考), 숙고(熟考), 비고(備考), 참고(參考),
- (考, 접두어): 고찰(考察), 고려(考慮), 고고학(考古學), 고과(考課), 고구(考究), 고사(考查, 정확한 판단을 위한 면밀한 시험→학력고사), 고시(考試), 고증(考證)
지혜를 헤아리는 사(思) 상(想) 고(考),
바램을 담은 생각 의(意) 지(志) 염(念) 원(願) 망(望),
그리움이 담긴 생각 억(憶) 모(慕) 련(戀),
걱정과 대비의 뜻이 담긴 생각 우(虞) 려(慮)
- 다음 글로 이어집니다.
'제도에 관한 접미어 > 소통에 관한 명칭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 그리움과 헤아림 억(憶) 모(慕) 련(戀) 우(憂) 려(慮) (0) | 2025.03.02 |
---|---|
12 바램이 있는 생각: 의(意) 지(志) 염(念) 원(願) 망(望) (0) | 2025.02.28 |
12 언론 미디어: 알릴 보(報), 기록할 지(誌) (1) | 2025.02.28 |
12 기록: 표(表) 도(圖) 화(畵) (0) | 2025.02.24 |
12 기록: 기(記) 록(錄) 부(簿) 첩(帖) 지(志) 지(誌) (0) | 2025.02.23 |
12 책을 의미하는 서(書) 책(冊) 경(經) 전(典) (1)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