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도에 관한 접미어/관계에 관한 명칭들

07 관계: 형제(兄弟)- 같은 세대 내의 명칭

by Chiron 21 2025. 1. 2.

 

○ 형제에 관한 명칭(같은 항렬)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서로 다른 세대 간의 관계라면, 같은 세대(항렬) 안에서 서열을 가리는 관계는 형과 아우, 즉 형제(兄弟)의 관계다. 형(兄)은 윗사람을, 제(弟)는 아랫사람을 가리킨다.

 

(형제가 여럿일 때 순서를 구분해서 붙이는 접두어 백(伯)- 중(仲)- 숙(叔)- 계(季)- 제(弟) 등의 명칭 설명은 바로 앞엣글, '07 관계: 부모(父母) 세대에 대한 명칭' (링크 클릭)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형제사이에도 백형이니 중형이니 하는 문자로 서열을 지칭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주로 문어체의 일이고, 구어체에서는 보통 형-아우, 큰형, 작은형과 같이 순 우리말 위주로 사용한다. 구어체에서 상대를 호칭할 때 ‘아우’보다는 ‘동생’이 더 자주 쓰이기도 하는데, 정작 동생(同生)이란 어휘 자체에는 형이나 아우가 특정되어 있지 않다. 애당초 한 어미의 배에서 나온 형제 사이를 지칭하는 용어였을 지도 모른다. 어쨌든 현재 ‘동생’이라는 말은 ‘아우’와 동일시된다. 여자형제들 사이에는 ‘언니-아우’를 쓰는데, 여성들 역시 과거에는 남성들의 경우와 다름없이 서로 간에 ‘형-아우’로 불렀을 가능성이 높다. 나이 많은 사람들의 언어습관에서 여성들도 서로를 ‘형님-아우님’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현재에도 여성 동서지간에 ‘형님-아우님’이란 호칭은 흔히 사용된다. 그런데 이와 반대로 남성들 사이의 관계를 ‘언니-아우’로 부르는 경우도 가끔 볼 수 있다.

 

남성 중심 문화에서 여성이 결혼해 시집에 오는 경우, 동서간의 서열은 자신들의 나이에 상관없이 배우자 남성의 형제 서열에 따라 위-아래가 결정된다. 맏아들의 부인은 나이가 아무리 어려도 맏며느리이므로 남편 부인들 가운데 첫째 언니가 되고, 둘째, 셋째 아들의 부인은 그 다음 순서가 된다. 남편이 막내아들이라면 아무리 나이 많은 여성이라도 동서들 가운데 가장 낮은 지위(막내며느리)가 되고 다른 동서들을 깍듯이 형님으로 모시는 것이 관례다. 이는 남자가 처가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서로 친족 사이가 아닌 사회관계에서는 주로 나이의 고하(高下)를 따라 ‘형-아우’로 호칭을 정하는 게 일반적이다. 다만 같은 직장이나 조직에 속해 있는 경우, 아무리 친근해졌더라도 이것은 사적(私的) 관계가 아닌 공적(公的) 성격을 벗어날 수 없으므로 직급 직위의 관계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공자(孔子)의 가르침을 빌면, 관청(직장)에 나아가서는 직위의 고하에 따라, 배움이나 일에 있어서는 경험의 선후관계 따라, 마을에 있어서는(사적인 관계) 나이의 고하에 따라 위아래를 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사회생활에서는 얼마든지 나이를 떠나 형-아우(선후배)의 관계가 정해질 수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이 원칙을 따르면 무난하다. 

 

- 형(兄-형제간): 장형(長兄, 맏형), 중형(仲兄, 둘째 형), 큰형, 작은형,

- 형(兄-친족간): 매형(妹兄=자형姊兄↔매제 妹弟), 인형(姻兄), 처형(妻兄), 형부(兄夫), 종형(從兄=4촌 형제간→종제 從弟), 가형(家兄=舍兄)

- 형(兄-친지사이): 대형(大兄) 아형(雅兄) 인형(仁兄) 숙형(叔兄)
- 형(兄-사회관계): 사형(師兄) 사형(詞兄) 학부형(學父兄)

 

- 아형(雅兄)은 남남인 남자들끼리 서로 존중하여 부르는 명칭. 혹은 상대의 성씨를 붙여 호명하는데- 김兄, 박兄과 같이- 이 때는 -氏를 붙여 부르는 것보다 훨씬 존중하는 경칭이 된다. 편지와 같은 글을 쓸 때는 상대를 지칭하여 仁兄으로 쓰기도 한다. 叔兄은 그보다 더 편하게 쓰는 문어체 지칭으로, 상대를 편하게 부른다는 것은 친구와 같이 여긴다는 의미다. 叔을 붙인 것으로 보면 나보다 어리거나 직급이 낮은 사람을 존중하여 쓸 수 있는 말이 아닌가 싶다.
‘-씨’를 붙이는 경우는 아주 사무적인 태도로 자신과 대등한 상대에게 붙이는 접미어다. 만약 상대를 직접 부를 때 ‘–씨’를 쓴다면 좀 낮잡아 부르는 호칭으로 여겨질 수 있다. 兄과 氏를 함께 써서 '형씨!'라고 부르는 경우도 볼 수 있는데, 이는 존경을 담은 호칭은 아니다. '형님!'이나 '형!' 보다는 가볍고, '당신'과 비슷하거나 보다 가벼우며, '야' '너' 보다는 약간 무게있는 정도의 호칭으로 여겨진다.  ( 형님! > 형! > 형씨!, 당신! > 너! > 야! ) 초면에 함부로 사용할 수 있는 말은 아니다.  
요즘은 '000님'이란 표현을 많이 쓴다. 상대에 대하여 위아래를 구분하거나 남자여자를 구분하지 않고 널리 붙여 쓰기 좋은 존칭이다.)

 

- 제(弟) - 아우, 나보다 나이 어린 사람, 후배, 후학 등의 의미
다른 사람에게 나 자신을 스스로를 낮추어 제(弟)라고 지칭할 수 있다.

- 제(弟-친족): 자제(子弟: 제 삼자가 남의 아들을 예의 있게 부르는 명칭), 제수(弟嫂↔兄嫂) 계수(季嫂), 매제(妹弟: 누이동생의 남편, 자매간에는 언니가 동생의 남편을 제부弟夫, 동생이 언니의 남편을 형부兄夫라 부름), 처제(妻弟) 

- 제(弟-사회관계): 제자(弟子), 도제(徒弟-기술을 배우는 제자), 법제(法弟-불법을 배우는 제자) 사제(師弟-불법, 도를 배우는 제자↔師兄),

 

*참고*  弟子:  사부(師父), 사형(師兄), 사제(師弟) 

아우를 가리키는 제(弟)는 제자(弟子)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제자(弟子)는 아우 제(弟)와 아들 자(子)가 합쳐진 말로 누구에게서 가르침을 받는 사람을 일컫는다. 아들이란 의미보다 아우라는 의미가 먼저다.

가르치는 사람과 배우는 사람의 사이가 형과 아우 정도로 가까울 때, 서로 상대를 가리켜 사형(師兄)과 사제(師弟)로 부를 수 있다(중국 영화에서 자주 보는 광경이다). 사형과 사제 관계는 가르치고 배우는 관계지만, 같은 세대, 항렬에 속하는 형제관계와 같다. 만일 둘 사이의 관계가 나이차가 많거나 도력의 차이가 많아 마치 부자(父子)관계처럼 간격에 거리가 있는 경우에는 사형이 아니라 사부(師父)라는 호칭을 쓴다. 군사부일체(君師父一體)라는 말에 해당하려면 이 정도 차이는 있어야 한다. 사부와 제자의 관계는 부자(父子)관계와 같기 때문에 보다 엄격하게 말하자면, 사제(師弟)관계 보다는 사자(師子)관계라 부를 수 있다.

사제(師弟)라는 말은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사형(師兄)에 대응하여 ‘가르침을 받는 아우’를 가리키는 말이고, 또 다르게는 ‘스승(師)과 제자(弟)’라는 말을 합친 말이기도 하다. 스승과 제자를 의미할 때는 그냥 ‘사제’라고 쓰기 보다는 사제지간(師弟之間) 또는 사제간(師弟間)으로 ‘사이’라는 뜻의 말을 합쳐 사용한다. 사제지간(師弟之間)은 사제(師弟)와 사자(師子)관계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in-depth learning 

* 서형제(庶兄弟)와 적형제(嫡兄弟)

이것은 정말 옛날 말인데, 자식을 많이 낳는 것이 자랑이던 그 옛날에는 특히 아들에 대한 집착이 얼마나 강했던지, 부인이 아들을 낳지 못할 때 (그 귀책사유가 남편과 부인 어느 쪽에 주로 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이를 큰 흠결로 여겼고, 양반집 남자들이 기필코 아들을 얻기 위하여 첩을 들이거나 씨받이 여인을 고용하는 것을 정당한 권리로 여길 정도였다.
이런 관념적 폐습은 20세기 중반까지도 실제로 이어졌다. 아들 만들 기술이 부족한? 남자들은 이를 핑계로 딸만 줄줄이 얻으면서 밖에서는 외간여자를 줄줄이 만날 수 있었고, 혹 본처를 내쫓는 것도 정당화되었다는(참고: 국어사전에서 ‘칠거지악’을 참고하라).... 이게 조선시대는 물론이고 불과 오륙십년 전까지도 사회 일각에서 용인되던 관습이었다. 나랏법이 일부일처만을 인정하는 것과 별개로, 민간에서는 공공연히 득남(得男)을 구실로 한 중혼이나 씨받이(혼외관계) 풍습이 용인되었다.

어쨌든 남자의 중혼(重婚) 혹은 혼외(婚外) 관계에 의해 낳은 자식들도 그들끼리는 위계상 형제간이므로, 그리고 한 집안이나 이웃 사이로 어울려 사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이에 대한 서로간의 호칭이 필요했다. (그래서 여기 이 부분을 추가해두겠다.)

 

적서(嫡庶)라는 말은 남자를 기준으로 본부인(정실正室, 정처正妻, 본처本妻)에서 얻은 자식과 후처(後妻, 측실側室) 또는 첩에게서 얻은 자식을 구분하는 말이다.

적(嫡: 정실)’은 정실에게서 얻은 자식과 연관된 수식어고, 서(庶: 많다, 하찮다)는 후처나 첩에게서 얻은 자식과 연관된 수식어다. 서얼(庶孼)이라 하여, 서자(庶子)와 얼자(孽子)는 같은 말이다. 또 이들에게서 파생되는 새로운 관계들에 대하여는 ‘적(嫡)-’과 ‘서(庶)-’ 접두어로 붙여 지칭했다. 

 

적자(嫡子) 본처에게서 얻은 자녀→ 적자녀(嫡子女)

적손(嫡孫) 적자에게서 얻은 적자

서자(庶子) 측실이나 첩, 또는 외간여자에게서 낳아온 자녀→ (庶子女)

얼자(孽子) 서자와 같은 말.

서얼(庶孼) 서자녀와 그들이 낳은 후손

적형(嫡兄) 나이가 위인 적자에 대한 어린 서자의 지칭. 호칭은 ‘형/형님’→ 적제(嫡弟)

서형(庶兄) 나이가 위인 서자에 대한 어린 적자의 지칭. 호칭은 ‘형/형님’→ 서제(庶弟)

적모(嫡母) 아버지의 본처에 대한 서자의 지칭, 호칭은 큰어머니/어머니

서모(庶母) 아버지의 후처에 대한 적자의 지칭. 호칭은 작은어머니/어머니

 

 

(*실제에서는 호칭까지 엄격하게 적서를 차별하여 부른 것은 아니고, 서로 직접 부를 때는 '형(형님)' '동생(아우)' 식으로 일반화해 불렀다. 아래 명칭들은 文語적으로 지칭이 그렇다는 것이다. 대개 적서간의 관계가 그리 살갑지만은 않은 것이어서, 특히 여자들 사이에 투기가 심한 경우 서로를 외면하며 지내기도 했다. '홍길동 傳'에 나오는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르지 못하고, 형을 형이라 부르지 못하오니-' 하는 구절은 바로 서얼인 길동이의 서글픔을 표현한 명대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