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도에 관한 접미어/관계에 관한 명칭들6

07 관계: 의도되지 않은 무리 류(類) 류(流) 족(族) 파(派) ○무리 류(類)와 류(流), 족(族), 파(派) 류(類)와 족(族)은 생물의 계통분류학에 나오는 명칭들이다. 이를 사람에게 적용하여 ‘-류’니 ‘-족’이니 ‘-과’니 하는 접미어로 지칭하는 것은 학술적 의미가 있는 것은 전혀 아니고, 계통분류학의 용어를 비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참고로 가장 널리 쓰이는 생물의 분류는 가장 하위의 단계로부터 종 척삭동물문> 포유강> 영장목> 사람과> 사람속> 사람(호모 사피엔스)으로 분류된다.  비유적 용법에서, –류(類)는 다양한 사물을 분류할 때 쓰이며, 특정한 부류의 사람을 지칭할 때는 주로 –류(流/流派)가 쓰인다. -류(流)는 본래 유체(流體: 기체와 액체 등 흐르는 물질)의 분류 명칭에 사용되는 말이지만, 일정한 흐름을 공통적으로 지닌 사물이나 사건, 사람에.. 2025. 1. 11.
07 관계: 조직화 된 무리 會 黨 隊 牌 ○조직화된 무리 회(會) 당(黨) 대(隊) 패(牌)사람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집단을 이룬다. 조직적인 집단도 있고, 우연한 동기에 의해 일시적으로 모이기도 한다. 이러한 집단을 이르는 말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성격이나 형식에 따라 그 집단을 이르는 표현은 달라진다. 모이는 명분이 뚜렷하고 조직적인 집단에는 대개 –회(會), -당(黨), -대(隊), -단(團), -패(牌), -도(徒)와 같은 명칭을 붙이고, 우연히 맺어지거나 일시적으로 합류했다가 흩어지는 집단은 –중(衆) -군(群) 등으로 불린다. 회(會)는 집단의 명칭 뿐 아니라 일시적으로 조직되는 이벤트성 모임에도 붙는다. 흔히 –회(會), -대회(大會)와 같은 형태의 접미어로 사용한다. 단(團)은 단체의 공식적인 명칭에도 붙지만 비공식적인 유형의.. 2025. 1. 11.
07 관계: 사회적 관계 友와 朋, 伴 사람은 가족이나 혈족, 친족을 떠나 그 밖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사회적 자아로 나아간다. 사는 동안 이동이 그리 많지 않던 19세기 이전에는 가족관계의 호칭이 중요했고 또 많이 사용되었으나, 20세기 이후에는 가족관계의 비중이 사회적 관계에 비해 크게 약화되었다. 우리가 가족 간 호칭을 많이 잊어버린 것도 변화된 환경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사회적 관계는 우선 학교, 직장, 국가사회로 확장되었고, 그에 따라 관계에 따른 호칭들이 익숙해졌다.  ○사회친구 벗 우(友), 벗 붕(朋)친구 우(友)는 사회관계에서 친근한 사이며 동료의식이 작용하는 관계에 폭넓게 쓰인다. 상대를 잘 알지 못하지만 특정 시기에 같은 목적으로 함께 움직이는 사이에도 친구라는 말을 쓰며, 학교나 회사 같은 조직에 함께 포함되어 있을.. 2025. 1. 11.
07 관계: 시가(媤家) 친가(親家) 호칭 ○ 조손(祖孫) 조상과 후손 - 조(祖): 조상(祖上), 조부-조모(2대조), 외조(外祖-父母, 2대조), 증조(曾祖-父母, 3대조), 고조(高祖-父母, 4대조), 현조(玄祖, 5대조), 원조(遠祖) - 조(祖-가문): 시조(始祖), 가조(家祖), 현조(顯祖, 이름이 드러난 조상) - 조(祖-종족, 국가): 개조(開祖), 국조(國祖↔始祖, ex.국조 단군, 개국시조), 선조(先祖), 열조(烈祖), 원조(元祖),  - 손(孫-가족): 손자, 손녀, 손주, 손부(孫婦, 손자며느리), 손서(孫壻, 손자사위), 장손(長孫), 증손, 고손, 적손(嫡孫↔庶孫), 외손(外孫↔親孫), 현손(玄孫), 내손(來孫, 6대손), 조손(祖孫, -관계)- 손(孫-가문): 종손(宗孫-종가의 맏손자), 종손(從孫, 형제의 손자), .. 2025. 1. 2.
07 관계: 형제(兄弟)- 같은 세대 내의 명칭 ○ 형제에 관한 명칭(같은 항렬) 부모와 자식의 관계가 서로 다른 세대 간의 관계라면, 같은 세대(항렬) 안에서 서열을 가리는 관계는 형과 아우, 즉 형제(兄弟)의 관계다. 형(兄)은 윗사람을, 제(弟)는 아랫사람을 가리킨다.  (형제가 여럿일 때 순서를 구분해서 붙이는 접두어 백(伯)- 중(仲)- 숙(叔)- 계(季)- 제(弟) 등의 명칭 설명은 바로 앞엣글, '07 관계: 부모(父母) 세대에 대한 명칭' (링크 클릭) 글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형제사이에도 백형이니 중형이니 하는 문자로 서열을 지칭할 수가 있다. 하지만 이것은 주로 문어체의 일이고, 구어체에서는 보통 형-아우, 큰형, 작은형과 같이 순 우리말 위주로 사용한다. 구어체에서 상대를 호칭할 때 ‘아우’보다는 ‘동생’이 더 자주 쓰이기도 .. 2025. 1. 2.
07 관계: 부모(父母) 세대에 대한 명칭 명칭은 정체성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이 누군가를 부르는 명칭에는 사람들이 그를 어떤 사람으로 보느냐 혹은 믿느냐 하는 개념이 들어있다.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그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대우가 달라진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신이 불리는 호칭에 신경을 쓰는 것이다. 내용이 따르지 못하는 한이 있어도 좀 더 그럴싸한 직함이나 신분으로 불리고 싶어 하는 것이다.  사람에게 붙는 명칭의 접미어들 가운데 관계에 의해 생겨나는 명칭이 따로 있다. 관계에 의해 불리는 이 대명사들은 다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친다. 형님으로 불릴 때와 아우로 불릴 때, 상대방이 나를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 그런데 관계에 의해 불리는 명칭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고, 동시에 상대적이다. 내가 아버지라 부르는 사람은 할아버지의 아.. 2025. 1. 2.